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울시3

2022년도 가구 중위소득 정보 - 서울시 돌봄수당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 2022년도 가구당 중위소득을 확인해보다 중위소득은 가구의 대출 기준 및 각종 정책지원의 지표로 사용된다. 그러나, 정부나 기사에서 친절하게 가구당 중위소득의 기준을 알려주지 않는다. 최근 나온 돌봄지원 정책만 보아도 가구당 중위소득의 150%까지 지원해준다는 기사가 나왔지만, 정작 중위소득이 그래서 얼마인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정리해 보았다. 중위소득은 매년 물가상승률등을 반영하여 변동된다. 2022년도 가구당 중위소득 또한 2021년도에 비해 상승하였다. * '21 , '22년도 중위소득 기준표 (월별 / 가구별 / 100% 기준) 2021년도 2022년도 1인 가구 1,827,831 1,944,812 2인 가구 3,088,079 3,260,085 3인 가구 3,983,950 4,194,701.. 2022. 8. 22.
세운 재개발의 방향 -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으로 세운 재개발이 기지개를 피게 되었다 오세훈 서울시장 출범후, 세운상가 옥상에 올라 '피를 토하는 심정' 이라는 발언은 유명하다. 그만큼 오세훈 시장이 일구어놓았던 세운지구 재개발이 10년 동안의 정체과정을 겪으며 낙후된 모습에 안타까움을 느꼈다는 것이다. 세운지구는 도심중의 도심인 만큼 강북의 강남이라 불릴 정도로 기대감을 불러 일으켰었다. 그러나, 전임 시장의 보존 정책으로 10년간 낙후되고 쇠퇴한 슬럼 지역으로 남아있었다. 그에따라, 작년 취임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세운지구 재개발에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 8월 초쯤 세운상가 위에 올라가서 종로2가와 청계천을 보면서 분노의 눈물을 흘렸다. 반드시 계획을 새로 세울 것이다.", "도심 녹지 축을 다시 살리는 계획을.. 2022. 3. 7.
뉴타운 사업에 대한 고찰 뉴타운의 개요 - 뉴타운 사업이란, 종래 민간 주도의 개발이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주택 중심으로만 추진되어 난개발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시행하는 새로운 '기성 시가지 재개발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주택 재개발이 민간 개발 편의 위주로 개별주택 가치 중심의 소규모 개발이라면 뉴타운 개발은 공공이 원하는 민간사업으로 적정규모의 생활권역을 대상으로 한 충분한 도시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종합적인 도시계획사업이다. 단순한 도시구조의 정비와 개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함께 살 수 있는 인간 중심의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도시 전체가 조화를 이루는 '21세기형 고품질 복지 주거환경 공간'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뉴타운의 개념은 19세기 말 E.하워드의 전원도시론(田園都市論).. 2011. 5. 27.
반응형